Linux

나만의 Repository 구축하기

포드맨 2024. 5. 17. 15:44

1. 환경 설정 및 (특정 패키지) 다운로드

 $ yumdownloader    { vim } 
 $ yumdownloader   --resolve    { vim }    // dependency 패키지까지 

 $ yum  localinstall   *.rpm

 $ yum   install   yum-utils
 $ yum   install   createrepo

 

 

 

2. 로컬 Repository 생성하기

 $ mkdir   testrepo
 $ cd    testrepo

 $  reposync 
 $  tree   |   more

  • 이렇게 다운로드된 패키지들은 Packages 디렉토리에 저장되어 있음.
  • reposync 로 다운로드한 패키지들을 rpm / localinstall 명령어로 설치는 가능하지만,
  • yum 을 이용해서 dependency까지 설치할 수는 없는 상태임.
  • 그래서 "repodata" 를 생성해야지 [나만의 레포지토리] 로 사용 가능하다.
  • createrepo 로 "repodata"를 생성해야 한다.
  • repodata 를 생성할 위치로 이동한 후, createrepo 를 이용하여 작업한다.

 

$ cd     /root/testrepo/rhel-9-for-x86_64-appstream-rpms
$ createrepo  .      ( . 을 꼭 붙여야 함)

 

 

 

 

 

3. 다른 host 에서 내가 만든 레포지토리 사용할 수 있도록 환경 구축하기

 

$ yum    install    httpd
$ mkdir    /var/www/html/repo

$ cp     /root/testrepo/Packages      -r       /var/www/html/repo

$ cd     /var/www/html/repo
$ createrepo .        // 해당 경로에서 다시 repodata 만들기

--> http:// { Repository IP } /repo 로 접속해보기


 

 

4. 로컬 Repository 사용하기

vi     /etc/yum.repos.d/test.repo
{
            [private-testrepo]
             name=" My Repository "
             baseurl=http:// { Repository IP } /repo
             gpgcheck=0
             enable=1
}

$ yum     clean     all
$ yum     repolist   

 

 

 

참고 -
https://velog.io/@ljk0509/Linux-%EC%82%AC%EC%84%A4-RHEL-Repository-%EB%A7%8C%EB%93%A4%EA%B8%B0
http://www.chlux.co.kr/bbs/board.php?bo_table=board02&wr_id=89